"[기타] 30∼49세 남성이 가장 짜게 먹어...WHO 권고량 2.2배 "

음주자ㆍ야식 섭취자가 나트륨 섭취 많아...영양표시 확인하는 사람은 적게 섭취

조회수 : 880

작성일 : 2020.12.22

 우리나라 국민 중 30∼49세 남성이 음식을 가장 짜게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식품의약안전처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1일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2015년 3천890㎎, 2016년 3천669㎎, 2017년 3천478㎎, 2018년 3천274㎎으로 매년 감소 추세를 보였다.

우리나라 나트륨 섭취량은 조사를 처음 시작한 1998년 이후 4천500∼4천800㎎ 수준을 유지하다 2005년 5천260㎎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정부가 2012년부터 자율적인 나트륨 저감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지속해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그 결과 2018년에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량(나트륨 2천㎎, 소금 5g)의 1.6배 수준으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성인 남성은 여전히 WHO가 권고한 것보다 2배 이상의 나트륨을 섭취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별로는 남성 19∼29세가 3천977㎎, 30∼49세가 4천421㎎, 50∼64세는 4천135㎎을 섭취해

WHO 권고량의 1.9∼2.2배 수준이었다.

남성은 같은 연령대 여성보다 평균 1천㎎ 이상 나트륨을 더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0∼49세 남성이 WHO 권고량의 2.2배 수준으로 모든 연령·성별을 통틀어 가장 음식을 짜게 먹는 것이다.

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 주요 원인으로는 가정식(41.8%), 외식(34.1%), 급식(9.4%), 편의식품(9.0%) 등의 순이었다.

음주자의 나트륨 섭취량은 4천185㎎으로, 비음주자(3천233㎎)보다 952㎎ 높았다.

이는 안주류와 함께 섭취하는 쌈장 등 양념류가 주요 나트륨 급원이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야식 섭취자(3천709㎎)는 비섭취자(3천199㎎)보다 나트륨을 510㎎ 더 섭취했다.

야식 섭취자는 하루에 섭취하는 나트륨의 37%를 야식(1천373㎎)에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식의 나트륨 주요 급원은 면류 및 만두류, 김치류, 튀김류, 장류·양념류 순이었고, 단품 음식으로는 라면, 닭튀김 등의 순이었다.

아울러 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사람(3천256㎎)은 그렇지 않은 사람(3천402㎎)에 비해 146㎎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식약처는 "외식으로 국·찌개 등을 섭취할 때는 가급적 국물을 적게 섭취하고, 건더기 위주로 드시는 것이 좋다"며 "음주 시 함께 먹는 안주류에

포함된 쌈장 등 양념류는 미리 덜어내어 가급적 적게 드시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이어 "식품을 선택할 때 영양 정보를 확인하고 나트륨이 적은 식품을 구매·섭취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대처방안

우리나라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이 세계보건기구 권고량 보다 높다는 사실은 이제 많은 국민이 안느 사실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나트륨 섭취를 생활에서 줄이려는 노력이 부족한데요. 나트륨을 적게 먹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식약처지킴이가 건강하게 먹을 수 있는 나트륨 적게 먹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구매시, 영양표시에 있는 나트륨 양을 꼭 확인해요. "
 
 
 
● 나트륨을 찾아요
● 나트륨의 mg을 확인해요
● %영양소 기준치를 확인해요
● 1회 제공량을 확인해요
● 비고해보고 나트륨이 적은 식품을 사도록 해요
" '주문할 땐 '싱겁게' 해달라고 요청하세요 "
 
 
● 덜짜게, 싱겁게 해달라고 주문시 먼저 요청하세요
●양념, 소스(소금)는 미리 다넣지 말고 따로 달라고 요청하세요
 
 
 
" 식사시에는 국, 찌개, 국수의 국물을 적게 먹습니다. "
 
 
● 나트륨이 많은 음식은 되도록 적게 먹어요
● 캐첩, 머스타드, 양념스프, 소스 등은 되도록 적게 넣어요
● 국물은 작은 그릇에 담아 조금만 먹어요
" 간식으로 채소, 과일, 우유를 먹습니다. "
 
 
● 채소, 과일, 우유에는 건강에 좋은 성분들이 많고, 나트륨을 몸밖으로 배설하도록 도와줍니다.
 
건강 해치는 '나트륨 밥상' 말고, 나트륨 줄인 '건강한 밥상'으로 식생활 패턴 바꿔 보시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