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인] '커피 중단' 필요성 알리는 7가지 신호 "

커피는 몸에 각종 건강 효과를 가져오지만, 반대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

조회수 : 28384

작성일 : 2021.04.27

커피는 몸에 각종 건강 효과를 가져오지만, 반대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다. 커피의 '카페인' 성분 때문이다.

카페인은 몸의 교감신경을 항진시켜 각종 이상 증상을 불러올 수 있다. 대부분 커피를 많이 마셨을 때 증상이 발생하지만, 일부 '카페인 민감성'인 사람은

단 한 잔의 커피 섭취만으로 몸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커피 중단' 필요성을 알리는 카페인 부작용 7가지는 다음과 같다.

▲두통 ▲불면 ▲짜증 ▲긴장 ▲잦은 배뇨 또는 배뇨 조절 불가능 ▲빠른 심장박동 ▲근육떨림이다.

7가지 증상 중 하나라도 나타나면 커피를 중단하거나 디카페인 커피로 바꿔야 한다.


더불어 미국 메이요클리닉에 따르면 특정 약을 복용하는 사람도 커피를 마시지 않는 게 좋다. 에페드린, 테오필린, 에키네시아 성분이 대표적이다.

에페드린은 코감기약에, 테오필린은 기관지협착증약에, 에키네시아는 감기 예방약에 사용되는데, 모두 카페인의 부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하루 커피 섭취 권장량은 4잔(카페인 400mg) 이하다. 다만, 미국 메이요클리닉은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시도중인 여성, 모유 수유중인 여성은

매일 카페인 사용량을 200mg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에 대해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고 했다. 이는 하루 약 2잔에 해당하는 커피 양이다.
 
 

대처방안

카페인 과잉섭취 주의
 
"카페인이란 무엇인가?"
 
 
카페인이란?
카페인은 현대인의 기호식품인 커피, 녹차, 콜라, 코코아, 초콜릿등 뿐 아니라 감기약이나 두통약 등의 의약품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성분이다. 인간의 기호를 충족시켜주는 측면에서 사회적으로 카페인이 크게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성인들이 주로 마시는 커피나 차 뿐 아니라 어린이,청소년 등이 즐겨먹는  콜라, 초콜릿 및 의약품에도
카페인 성분이 들어있기 때문에 무심코 섭취하게 되는 카페인량은 실제 생각하는 양보다 많아질 수 있어 우려가 되고 있습니다.
 
"카페인의 영향력"
 
 
카페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카페인은 몸에 쌓인 피로를 풀어주고 정신을 맑게 해주며, 이뇨작용을 통해 체내 노폐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등
신체에 이로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카페인의 과잉 섭취시 불안, 메스꺼움, 구토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중독시에는 신경과민, 근육경련, 불면증 및
가슴두근거림증, 칼슘 불균형 등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카페인의 생리적 작용에 대해 반응하는 정도는 개인의 체질과 식생활에 따라 다른데 성장기 어린이나 임산부의 경우
카페인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어 카페인의 총 섭취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카페인 주의사항"
 
 
카페인 과잉섭취에 주의하세요.
카페인 과잉섭취를 막으려면, 식품별 카페인 함유량과 하루 섭취기준을 항상 확인하셔야 합니다.
예컨대 만 6세 어린이가 콜라 한 캔, 초콜릿 한 개, 커피맛 빙과 한 개를 먹게 되면 총 카페인 양은 68mg으로
하루 섭취기준(60mg)을 넘게 되므로 보호자의 관심이 필요하며, 만 15세 여학생이 하루에 캔 커피 2개를 마실 경우
총 카페인 양은 149mg으로 섭취기준(133mg)을 훌쩍 넘게 됩니다.
졸음을 쫓기 위해 커피를 즐겨마시는 중고생의 경우 카페인 1일 섭취기준을 쉽게 넘을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카페인 과잉섭취 및 중독을 피하기 위한 방법"
 
 
카페인 중독을 피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물을 많이 마실 것 ◁

커피나 콜라 대신에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다. 찬 물이든 뜨거운 물이든 상관없다.
손에 음료수 병이나 잔을 들고 있으면 커피나 녹차가 든 잔이 없을 때 느끼는 허전함도 줄어들 것이다.

▷ 운동량을 늘릴 것 ◁

운동은 카페인 못지 않은 자극제이자 활력소다. 다만 벤치프레스 같은 웨이트트레이닝은 피하는 게 좋다.
이런 운동은 산을 비롯해 위 속의 내용물을 역류시키기 때문에 좋지 않다.

▷ 위를 오랫동안 비워두지 말 것 ◁ 

공복감이 오래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4시간 이상 위를 비워두지 않는 것이 좋다.
허기가 질수록 신경이 날카로워진다. 소량의 식사를 자주 하는 것이 위산 역류를 만는 등 몸에 좋다.
 
▷ 잠을 충분히 잘 것 ◁

가장 좋은 피로회복제는 수면이다.
매일 저녁 정해진 시간이나 비슷한 시간대에 잠을 청하고 7-8시간 자는 게 좋다.

▷ 건강 음식을 먹을 것 ◁

카페인이 없는 음료를 마시라.
디카페인 커피도 카페인을 소량 함유하고 있긴 하지만 일반 커피의 좋은 대안이다.
카페인이 전혀 없는 허브차도 좋다. 또 정제 설탕이나 패스트푸드를 피하고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채소 등을 많이 먹는게 좋다.
"카페인 1일 권장량"
 
 
Tip. 1일 권장량을 보시고 카페인 섭취를 조절해 보세요